장시간 앉은 상태로 업무에 임하다 보면 허리가 아프곤 합니다.
뿐만 아니라 허리를 굽혔다 폈다 하기를 반복하는 육체노동에 있어서도 허리통증은 마찬가지입니다.
이렇듯 잠깐 스쳐지나가는 허리통증이라면 큰 문제가 없겠지만 이것이 지속된다면 분명 이상이 있다고 봐야합니다.
그 중에서도 척추관협착증증상이 아닌지를 검진을 통해 확인해 보실 필요가 있습니다.
먼저 척추관이라고 하면 우리 몸의 척추뼈에서 앞쪽에 위치한 추체와 디스크라고 불리는 추간판 그리고 뒷쪽에 존재하는 추궁판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공간을 말합니다.
척추관은 뇌에서 출발하여 목뼈 부분의 경추와 등뼈쪽의 흉추를 지나 허리에 있는 요추부 찍고 엉덩이와 다리 부분인 하지로 내려가는 신경의 통로입니다.
이렇게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의 하나인 척추관이 좁아지게 되면 신경에 압박이 가해져 자연스럽게 통증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이를 척추관협착증 그러니까 척추관이 좁아져서 신경에 자극에 가해지면서 생기는 질환인 것입니다.
척추관협착증증상은 디스크증상과 유사한 부분이 있어 자칫 이를 혼돈할 수도 있습니다.
구분하는 방법으로는 먼저 디스크는 예기치 못한 사고로 인해 발생하게 되며 사고 이후 비교적 짧은 시간 안에 통증이 나타난다고 합니다.
그에 반해 척추관협착증은 오랜 시간을 두고 점차 증세가 경과되는 양상을 보이는 것이 디스크와 다르다고 하겠습니다.
원인으로는 장기간 조금씩 인대나 뼈 그리고 디스크에 퇴화가 진행되면서 척추관이 좁아지게 되며 이것이 신경을 눌러 통증을 유발하게 됩니다.
그리고 이는 선천성과 후천성으로 나눌 수가 있습니다.
선천성 척추관협착증은 말 그대로 태어날 때부터 척추관이 좁게 생겨버린 탓에 10대나 20대에는 별다른 이상을 보이지 않다가 30대를 넘기면서 인대와 뼈의 퇴화과정이 겹치면서 발생하며 범위도 넓다고 합니다.
후천선 척추관협착증은 몇 가지를 들 수 있는데요
첫 번 째로는 허리뼈라고 불리는 요추가 노화되면서 가시와 같은 형상으로 변하게 되는데 이것이 신경에 자극을 주는 경우라고 하겠습니다.
두 번 째로 역시 노화된 뼈와 함께 인대의 노후까지 겹쳐 동시에 신경을 누르는 경우라고 할 수 있습니다.
세 번 째는 디스크 수술을 받은 이후 신경에 유착현상이 생기는 경우인데요 이러한 때는 일반적인 검사로는 판별이 불가능하고 정밀검사로만 확인이 가능합니다.
그렇다면 척추관협착증증상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허리가 마치 무언가로 쑤시는 듯 아프다면 이를 의심해 봐야 합니다.
2. 상체를 앞으로 숙였을 때 다소 감소되었던 통증이 허리를 피게 되면 곧바로 다시 나타나는 경우입니다.
3. 걸어가다가 잠시 앉았을 때에는 통증이 줄어들었다가 다시 일어나서 걸어가기 시작하면 통증이 시작되면 검진이 필요하다고 하겠습니다.
4. 혹시 밤에 종아리에 쥐가 자주 나십니까?
자주 날 뿐만 아니라 시간이 지날 수록 쥐가 나는 횟수도 증가한다면 척추관에 이상이 있는 경우일 가능성이 큽니다.
이번에는 위에서 잠시 언급한 바와 같이 디스크증상과 비교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디스크는 활동을 하면 통증이 발생하는 반면 척추관협착증은 누워있을 때 통증을 느끼게 됩니다.
2. 허리를 굽혔을 때 통증을 느낀다면 디스크를 의심해 봐야 하며 반대로 허리를 뒤로 젖혔을 때 통증이 발생하면 척추관협착증증상을 의심해 봐야 합니다.
3. 디스크 환자는 딱딱한 침대에서 곧은 자세로 자는 게 편한 반면 척추관협착증 환자는 푹신한 침대에 옆으로 누워서 자는 게 편하다고 합니다.
척추관협착증증상이든 디스크증상이든 양 쪽 모두 삶에 별다른 도움이 되지 않는 질환인만큼 일단 통증이 느껴진다 싶으면 곧바로 가까운 병원을 방문하셔서 검사를 받아보시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더 중요한 것은 평소에 걷거나 앉는 자세를 제대로 하는 것입니다.